돈 버는 습관
ETF, 절세, 투자, 저축, 금융 등 돈을 모으고 불리는 습관을 만드는 전략을 제공합니다.

ISA 연금저축 이전, 세액공제 최대 495만원 받는 방법

ISA 만기 자금을 연금저축으로 이전하면 받을 수 있는 세제 혜택과 절차를 친근하고 쉽게 설명합니다.

ISA 만기가 다가오면 ‘이 돈을 어떻게 써야 하나’ 고민되시죠? 현금화할까, 재투자할까 고민하는 분들께 추천드리는 전략이 있습니다. 바로 ISA 만기자금을 연금저축계좌나 IRP로 이전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제대로 활용하면 최대 495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부터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ISA 연금저축 이전, 세액공제 최대 495만원 받는 방법

1. ISA 만기되면 연금저축으로 옮길 수 있어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최소 3년 이상 유지하면, 만기 시 연금계좌(연금저축/IRP)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

이전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계좌 유지 기간 3년 이상
  • 만기일로부터 60일 이내 이체

이때 연금계좌로 이체하면, 일반적인 세액공제 한도 외에도 추가 세액공제 혜택이 적용됩니다.


2. 최대 495만원 세액공제, 도대체 어떻게 가능한가요?

세액공제는 소득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16.5% 공제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13.2% 공제

ISA 만기자금 중 300만원 한도 내 10%는 추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이외 금액은 연금계좌 납입액으로 간주되어 연간 900만원 한도에서 공제가 적용됩니다.


금융감독원 연금저축 자세히 알아보


3. 실제 사례로 보는 연금 이전 절세 시뮬레이션

총급여 5,500만원 이하 직장인이 ISA 만기자금 3,000만원을 연금계좌로 이체한다고 가정해볼게요.

  • 1년차: 300만원 × 16.5% = 49만 5000원
  • 2~4년차: 매년 900만원씩 이체 → 900만원 × 16.5% × 3 = 445만 5000원

총 세액공제 혜택: 495만원 단 한 번의 이체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략입니다.

4. 이득만 있을까? 조심해야 할 부분은요?

  • 세액공제 받은 금액 중도 인출 시 과세가 발생합니다.
  • 연금계좌 이체는 직접 신청해야 하며, 자동 이체되지 않습니다.
  • 만기 전에도 3년 이상 유지된 ISA는 이전이 가능합니다.

KB증권 연금 이전 상담 바로가기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ISA 만기 전에 연금계좌로 옮겨도 세액공제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ISA 개설 후 3년 이상 경과했다면, 만기 전이라도 연금계좌 이체 및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Q2. 연금저축과 IRP 중 어디로 이체하는 것이 더 유리한가요?

A. IRP는 최대 900만원까지, 연금저축은 6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므로 소득 조건에 따라 혼합 활용이 가장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돈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절세 + 노후 준비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체크리스트

  • ISA 유지 기간 3년 이상 확인
  • 만기 후 60일 이내 연금계좌 이체 신청
  • 금액 전략: 3000만원 수준에서 분할 활용 고려
  • 금융사별 연금저축 조건 비교 후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