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만기가 다가오면 ‘이 돈을 어떻게 써야 하나’ 고민되시죠? 현금화할까, 재투자할까 고민하는 분들께 추천드리는 전략이 있습니다. 바로 ISA 만기자금을 연금저축계좌나 IRP로 이전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제대로 활용하면 최대 495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부터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1. ISA 만기되면 연금저축으로 옮길 수 있어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최소 3년 이상 유지하면, 만기 시 연금계좌(연금저축/IRP)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
이전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계좌 유지 기간 3년 이상
- 만기일로부터 60일 이내 이체
이때 연금계좌로 이체하면, 일반적인 세액공제 한도 외에도 추가 세액공제 혜택이 적용됩니다.
2. 최대 495만원 세액공제, 도대체 어떻게 가능한가요?
세액공제는 소득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16.5% 공제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13.2% 공제
ISA 만기자금 중 300만원 한도 내 10%는 추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이외 금액은 연금계좌 납입액으로 간주되어 연간 900만원 한도에서 공제가 적용됩니다.
3. 실제 사례로 보는 연금 이전 절세 시뮬레이션
총급여 5,500만원 이하 직장인이 ISA 만기자금 3,000만원을 연금계좌로 이체한다고 가정해볼게요.
- 1년차: 300만원 × 16.5% = 49만 5000원
- 2~4년차: 매년 900만원씩 이체 → 900만원 × 16.5% × 3 = 445만 5000원
총 세액공제 혜택: 495만원 단 한 번의 이체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략입니다.
4. 이득만 있을까? 조심해야 할 부분은요?
- 세액공제 받은 금액 중도 인출 시 과세가 발생합니다.
- 연금계좌 이체는 직접 신청해야 하며, 자동 이체되지 않습니다.
- 만기 전에도 3년 이상 유지된 ISA는 이전이 가능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ISA 만기 전에 연금계좌로 옮겨도 세액공제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ISA 개설 후 3년 이상 경과했다면, 만기 전이라도 연금계좌 이체 및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Q2. 연금저축과 IRP 중 어디로 이체하는 것이 더 유리한가요?
A. IRP는 최대 900만원까지, 연금저축은 6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므로 소득 조건에 따라 혼합 활용이 가장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돈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절세 + 노후 준비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체크리스트
- ISA 유지 기간 3년 이상 확인
- 만기 후 60일 이내 연금계좌 이체 신청
- 금액 전략: 3000만원 수준에서 분할 활용 고려
- 금융사별 연금저축 조건 비교 후 신청